고분자ㆍ나노 공학과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원은,
(1) 고분자 나노 공학과 (2) 유기 신물질 공학과 (3) 디자인 제조 공학과 (4) 신개념 BIN 융합기술 공학과 등 4개 학과로 년 100명 이상의 석·박사 과정 학생을 모집하여 졸업생 전원을 취업시키고 있다. 학부생 수보다 대학원 학생수가 많은 소위 대학원 중심학과이다.
1. 고분자나노공학과
개요
고분자와 나노 물질을 주로 다루는 Hybrid형의 학과로 서로 전혀 다른 전문분야를 갖는 교수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연구실험실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실
연구실명 | 지도교수 |
---|---|
생체재료/재료공학 실험실 (Biomedical Engineering Lab.) |
강길선 교수 -Iowa 대학(미) 박사, 한국화학 연구소 근무, BIN 융합공학과장, BK 사업 단장 역임, WCU 학과 교수 3분 영입 : Robert M. Nerem(조지아 대학 교수), Paul M. Vanhoutte(국립 홍콩대학교수,의사), Peter M. Kang(하버드 의대, 이스라엘병원 교수, 의사) |
지능형 고분자·나노소재 실험실 (Intelligent Polymer Nanomaterials Lab.) |
나창운 교수 Acron 대학 공대(미) 박사 , 금호연구소 근무(NT, ET), BK-21, 국가지정 WCU 3유형 책임자, 탄성 분야 최고 권위자 Gent 교수 영입(영국 런던대, Acron 대 교수) |
연성소재 표면 및 계면화학 실험실 (Soft Materials at Surfaces and Interfaces Lab.)(2019년 신설) |
박성준 교수: - RWTH Aachen (박사), 현대자동차/삼성전자 근무, NCSU (Post-Doc), Advanced Materials, Advanced Science 등 해외 저명 학술지 논문 게재 |
나노메디슨 실험실 (Nanomedicine Lab.) |
이동원교수 플로리다대(미) 박사, Georgia대 Post Doc. Nature 자매지 Biotech.-논문게재 |
광 및 전자 특성 고분자 실험실 (Synthetic Polymer Lab.) |
이명훈 교수 KAIST 박사, 한국화학 연구소 근무, 고분자 배터리 관련 최우수상 수상 |
정보 디스플레이 실험실 (Information Display Lab.) |
이승희 교수 Kent주립대학(미) 박사, 현대 디스플레이(Hydis) 근무, BK-21, 노동부·교과부·산자부 평가 최우수 실험실, WCU 1유형 참여(IT, NT) - Shinwoong kang 교수영입 (Kent대 Post Doctor) |
기능성 나노복합재료 실험실 (Functional Nano Compopsites Lab)(지도교수: 이중희 교수) |
이중희 교수 Minesota 대학(미) 박사, KCR(벤처 기업, 200억 규모) 사장, 우주 항공 분야 국가지정 실험실, BK-21, WCU 1유형 참여 - Alan Kin-Tak Lau. 박사 영입(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 Bionano Composite) |
분자공학실험실 (Advanced Molecular Engineering Laboratory) |
정광운 교수 Acron 대학이학(미) 박사. MIT Post Doctor, 세계 저명 학술지 표지 논문 게재(IT, NT) |
첨단분리소재 실험실 (Advanced Separation Materials Lab.) |
이재우 교수-서울대 박사, 싱가포르 난양공대 (Post-Doc),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 펠로우십 및 박사후 국외연수 선정 |
입학, 졸업 및 운영
① 인문, 자연, 예술계 등 학사 학위를 받고 자신의 목표가 뚜렷하여 공학적 자질을 가지는 자는 누구나 입학할 수 있다. 국적, 연령, 성별, 신체 부자유 등 하등의 차별을 받지 않는다.
② 입학은 간단한 영어 해독 능력 테스트를 거쳐 허가할 수 있으나 졸업은 영어 능력 졸업 인증 하한선(토일 700점 이상과 이에 상응하는 토플, 텝스 등의 성적)을 요구하고, SCI급 논문집에 2편 이상 게재(석사는 공동저자 2편 주저자 및 교신저자로 1편, 박사는 주저자 및 교신 저자 2편 이상)를 의무화하고 있다(게재확인서는 가능)
③ 입학한 모든 석·박사 학생은 월 60~150만원의 연구수당을 받는다. 따로 직장을 가진 자는 연구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④ 매년 석·박사 과정 40~50명을 모집하나 자신의 적성, 적응 능력 등에 따라 관련 교수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ET(Energy Technology), Photonics 등 어느 분야에서도 연구 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본과 이외의 타학과 타대학 교수, 국책 연구소, 기업 연구소, 벤처에 근무하는 전문가의 공동 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⑤ 강의는 50% 이상 영어를 진행함을 원칙적으로 하고, 영어 성적(토플)이 우수하고 SCI급 논문 다수 발표한자는 외국 유명 대학 교수와 연결하여 연구수당 + 생활비 전액을 지급받아 박사과정 진학 또는 Post Doc 코스로 유학하도록 권장한다.
⑥ 석사 과정 이상을 수료한자는 국내·외의 다국적 기업, 대기업, 유망 벤처 기업, 국책 및 기업 연구소등에 전원 취업한다. 2008년 40명 졸업 전원 취업 또는 진학하였다.
⑦ 석사, 박사과정 중 2회 이상 국내외 관련 유명 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해야한다(포스터 및 구두)
⑧ 졸업 종합 시험 중 영어 시험(토익 700점에 준하는 영어 자격자 면제 할 수 있음)은 시사문제, 과학 문제, 공학 문제 등 해독력 시험으로 2시간 분량으로 치룬다. 전공 종합 시험은 학과목당 15문제의 모델 문제를 제시하고 학과목 이수 중 치루었던 시험과 동일 문제 동일 방법으로(추첨 형식으로 6문제 추첨, 4문제를 답하는 서술식) 실시한다.
⑨ 고분자·나노 공학과는 매일 출석하여 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학생만을 입학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② 입학은 간단한 영어 해독 능력 테스트를 거쳐 허가할 수 있으나 졸업은 영어 능력 졸업 인증 하한선(토일 700점 이상과 이에 상응하는 토플, 텝스 등의 성적)을 요구하고, SCI급 논문집에 2편 이상 게재(석사는 공동저자 2편 주저자 및 교신저자로 1편, 박사는 주저자 및 교신 저자 2편 이상)를 의무화하고 있다(게재확인서는 가능)
③ 입학한 모든 석·박사 학생은 월 60~150만원의 연구수당을 받는다. 따로 직장을 가진 자는 연구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④ 매년 석·박사 과정 40~50명을 모집하나 자신의 적성, 적응 능력 등에 따라 관련 교수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ET(Energy Technology), Photonics 등 어느 분야에서도 연구 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본과 이외의 타학과 타대학 교수, 국책 연구소, 기업 연구소, 벤처에 근무하는 전문가의 공동 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⑤ 강의는 50% 이상 영어를 진행함을 원칙적으로 하고, 영어 성적(토플)이 우수하고 SCI급 논문 다수 발표한자는 외국 유명 대학 교수와 연결하여 연구수당 + 생활비 전액을 지급받아 박사과정 진학 또는 Post Doc 코스로 유학하도록 권장한다.
⑥ 석사 과정 이상을 수료한자는 국내·외의 다국적 기업, 대기업, 유망 벤처 기업, 국책 및 기업 연구소등에 전원 취업한다. 2008년 40명 졸업 전원 취업 또는 진학하였다.
⑦ 석사, 박사과정 중 2회 이상 국내외 관련 유명 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해야한다(포스터 및 구두)
⑧ 졸업 종합 시험 중 영어 시험(토익 700점에 준하는 영어 자격자 면제 할 수 있음)은 시사문제, 과학 문제, 공학 문제 등 해독력 시험으로 2시간 분량으로 치룬다. 전공 종합 시험은 학과목당 15문제의 모델 문제를 제시하고 학과목 이수 중 치루었던 시험과 동일 문제 동일 방법으로(추첨 형식으로 6문제 추첨, 4문제를 답하는 서술식) 실시한다.
⑨ 고분자·나노 공학과는 매일 출석하여 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학생만을 입학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2. 유기 신물질 공학과
개요
의학, 농학, 치의학, 공학, 예술, 인문학 등 모든 분야에서 취급하는 신종 유기 재료의 개발(development) 및 개질(modification)을 다루는 학과로 각 단위 학과로만은 해결 할 수 없는 프로젝트와 본 대학내에 개설되어 분산되어 있거나 개설되지 않은 농약, 특수의약, 페인트, 화장 재료, 식품, 향료, 염료, 반도체 부품, LED소자, 연료전지 소자, 태양전지 소자, Photonics 소자, 천연 및 합성 물질 등등 모든 유기 재료 및 소자를 다룬다.
구성
① 입학한 학생이 목적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교내 뿐만 아니라 국책 연구소 및 기업 연구소, 초중고 교사, 벤처 기업, 중소기업 등등 국내·외 시공을 초월한 모든 연구 의욕을 갖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학생과 지도교수가 공동 연구하는 학과다.
② 직업 현장에서 자신에게 맡겨진 프로젝트를 국내·외 유명 학자들의 자문을 받아 수행하면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대학원 협동과정 학과이다.
② 직업 현장에서 자신에게 맡겨진 프로젝트를 국내·외 유명 학자들의 자문을 받아 수행하면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대학원 협동과정 학과이다.
입학, 졸업 및 운영
① 입학하는 모든 사람은 각자의 희망과 연구하려는 과제에 따라 자유롭게 지도교수를 선택할 수 있다.(타교, 국외의 경우는 학과장의 승인에 따라 공동 지도 교수제 허용) 국내·외 어디에서나 교과목이수를 위한 수업을 받을 수 있고 시·공, 인종을 초월한다. E-mail 수업이나 화상강의, 타교 출석 수업 등등 모두 허용된다(기존의 학위 과정과는 한 세대를 앞서가는 운영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자신이 선택한 학과목에 대해서 2회 이상 세미나 발표로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담당 교수 참석 하에서).
② 간단한 영어 해석 시험과 면접만으로 입학 할 수 있고, 토익 700점 이상또는 이에 상응하는 토플, 텝스 성적과 전공 종합 시험을 통과하여야 졸업 논문제출이 허용된다.
③ 종합 시험을 자신이 공부한 내용 중에서 자신이 교과목을 선택하여 과목당 15문제를 제시하고, 그 중 6문제를 선택, 4문제를 답하는 형식으로 실시한다.
④ 학과목 이수 시 세미나, 기말 시험, SCI 논문 게재 요건, 논문 발표 요건 등 여기에 기제 되지 않은 모든 사항은 대학원 고분자·나노 공학과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른다.
② 간단한 영어 해석 시험과 면접만으로 입학 할 수 있고, 토익 700점 이상또는 이에 상응하는 토플, 텝스 성적과 전공 종합 시험을 통과하여야 졸업 논문제출이 허용된다.
③ 종합 시험을 자신이 공부한 내용 중에서 자신이 교과목을 선택하여 과목당 15문제를 제시하고, 그 중 6문제를 선택, 4문제를 답하는 형식으로 실시한다.
④ 학과목 이수 시 세미나, 기말 시험, SCI 논문 게재 요건, 논문 발표 요건 등 여기에 기제 되지 않은 모든 사항은 대학원 고분자·나노 공학과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른다.
3. 디자인 제조 공학과
개요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정신과 교육 이념을 따라 설립된 학과로, 산업디자인 뿐 아니라 조경, 기계설계, 토목 교량 설계, 건축 설계, 웹 디자인, 식품 디자인, 화예 디자인, 포장 디자인, 디자인 재료 등등 자연계, 인문계, 예술계 디자인 관련 모든 분야를 포괄한다.
구성
국내·외 관련 모든 전문가들의 지도를 받을 수 있고, 현장에서 자신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학위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학과로, 국내에서 맨 처음으로 설립되었고 기존의 대학원 학위 과정과는 운영 방법이 전혀 다른 학과이다.
입학, 졸업 및 운영
① 일정 수준의 영어 사용 능력(토익 700점 이상 및 이에 상응하는 토플, 텝스 성적)과 매학기 세미나 주제 발표 및 기말 시험 등과 관련한 모든 운영과 관련된 사항은 유기신물질 공학과 및 고분자 나노 공학과와 같다.
② 국제 학회에서 2회 이상의 발표(주저자 및 교신 저자)를 졸업 논문 제출 구비 요건으로 한다. (석사과정은 1회 이상, 박사과정은 2회 이상)
② 국제 학회에서 2회 이상의 발표(주저자 및 교신 저자)를 졸업 논문 제출 구비 요건으로 한다. (석사과정은 1회 이상, 박사과정은 2회 이상)
4. BIN 융합공학과
BIN 융합공학과 홈페이지 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bintech.jbnu.ac.kr/)
5.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홈페이지 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eprint.jbnu.ac.kr)